2024. 10. 28. 06:12 뇌기능강화1
19.송과체 석회화 2
반응형
●송과체 석회화 2

현재 미국은 몇개 주를 제외하면 거의 80% 이상이 상수도 불소화를 시행하고 있다.우리나라는 2019년에 잠정 중단된 상태이다. 지난 38년간 불소화 사업을 시행하다가 계속하여 발표되고 있는 최신 연구결과와 많은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모두 중단돠었다.불소는 땅이나 물.음식 등에도 자연적으로 흔하게 존재하는 원소이다. 커피나 차.포도.와인.치킨.통조림 같은 음식에도 소량 들어있을 수 있다.불소가 포함된 식품에는 새우.감자칩.감자튀김.오트밀.수프.아이스캔디.그레이소스.밀 등에 들어있기는 하나 과량이 아니라면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지하수에 불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지역이 있다.미국 서부지역이 대표적인 사례이다.그러나 우리나라는 포함되지 않았다. 미국 캘리포니아산 화이트와인에 불소 함량이 다소 높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치약중에 불소함량이 적혀있는 제품이 있다.일반치약제품은 보통 1,000ppm에서 2,000ppm에 사이가 대부분이다.충치를 예방하기 위해서이고 양치 목적이기 때문에 삼키지 않고 뱉어 내므로 흡수가 별로 안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의외로 많이 흡수되는 편이다.구강점막을 통해 소량 흡수될 수도 있고 양치후 남은 성분이 흡수되기도 한다.2017년 뉴질랜드 9세에서 10세 소아 불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에서 불소 섭취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은 치약의 사용에 있다고 밝혔다.
지역분류 | 식수+식사(mg/day) | 치약불소(mg/day) |
상수도 불소화 지역 | 0.71 | 0.95 |
상수도 비불소화지역 | 0.21 | 1 |
상수도 불소화지역에서 훨신 높다 | 식수+식사를 통한 섭취보다 치약을 통한 불소량이 훨씬 많았다 |
불소는 필수영양소가 아니다.즉, 우리의 몸에 필요한 물질이 아니라는 뜻이다.특히 임신 중이거나 성장기 아이들은 불소의 노출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6세이하의 아이들은 양치질 한 번에 불소 0.3mg 정도 섭취가 가능하다고 한다.아이들은 의외로 조금씩 삼키기 때문에 반드시 불소비함유 치약을 사용하여야 한다.불소는 최대한 적게 노출되어야 하므로 불소의 권장섭취량이라는 말은 잘 못된 것이다.불소는 과거에 바퀴벌레를 잡는 살충제로 흔히 사용되었는데 사용된 불소나트륨의 농도는 40%나 되었다.불소나트륨은 흔히 쥐약으로도 사용되었지만 그 전체적인 독성이 나무강하여 현재는 살충제나 쥐약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불소.염소.브론.요오드는 비슷한 할로겐 원소이어서 그 성질이 서로 비슷하다. 그래서 갑상선조직은 그러한 원소들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불소가 우리 몸에 들어오면 갑상선 조직이 요요드 대신 불소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갑상선조직에 독성을 가져올 수 있다.실제로 불소는 1960년대까지 이러한 성질로 인해서 갑상선기능항진증에 널리 처방되기도 했으나 이렇게 장기적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만들어 결국은 갑상선독성문제가 대두되면서 그 처방이 중단되었다.이후 불소의 이런 독성 때문에 갑상선에 대한 연구도 많이 나오게 되었다.2017년 상수도 불소화를 포함한 불소의 노출은 갑상선기능저하증 발생증가와 의미있는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구강청결제 역시 치약과 마찬가지로 불소가 많이 들어있다.불소치약을 사용하면서 간간히 구강청결제까지 사용하게 된다면 의외로 많은 양의 불소에 노출되게 된다.불소는 먹는 처방약에도 들어있을 수가 있다.300여가지 이상 시판되는 약 제품에 불소를 포함한 상태로 팔고 있는게 현실이다.
처방약에 이렇게 불소를 넣는 것은 약물이 지방에 잘 흡수되게 하고 약물대사의 속도를 느리게 해서 약효를 오래 지속시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이렇게 값싼 불소를 이용하면 약을 제조하는 것이 훨씬 편리해지기 때문이다.불소는 충치를 예방하고 치료할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그런데 장기적으로 많이 노출되면 오히려 치아의 미네랄이 침착을 방해해서 치아가 누렇게 변색된다.바로 치아불소증이다.지난 50년 동안 치아불소증은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1950년도 12세에서 15세 사이의 아이들 중에 10%에 불과하던 치아불소증은 2000년도에는 41%까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10명중 4명의 아이들이 치아불소증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불소는 송과체 석회화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송과체 석회화는 우리 몸의 뇌노화를 촉진하고 뇌질환에 직접적인 영양을 미쳐 뇌졸증. 알츠하이머.치매 등을 유발시키며 멜라토닌 분비를 저하시켜 수면의 질을 떨뜨린다.송과체 석회화를 억제하면서 칼슘을 제거하는 방법으 로서는 불소의 노출을 최대한 피해야 한다.불소치약.불소함유처방약.불소화된 수돗물이다. 우리나라는 2019년에 수돗물 불소화가 중단되었다.석회화를 줄이는 방법은 비타민 D3. 비타민 K2. 불소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물질 비타민 B군 .비타민C.마그네슘.셀레늄.요오드.아연. MSM과 미네랄 등을 꾸준하게 섭취하게되면 도움이 될 수 있다.미네랄 중에는 요요드가 겅력한 해법이 될 수 있으나 요오드의 선택이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으므로 기능의학 전문의의 상담을 한 후 선택할 필요가 있다.수면호르몬 멜라토닌은 세라토닌으로부터 얻어진다.아침과 낮으로 햇빛을 충분하게 받으면 행복호르몬 세라토닌이 만들어진다.이렇게 되면 저녁에 멜라토닌이 합성될 요건이 생겨진 것이다.멜라토닌 합성에는 여러가지 다양한 성분이 필요하다. B6.B9.B12등이 함유되어 있는 고함량 비타민B군. 비타민 C.황화합물 MSM.마그네슘.아연.비타민등이 필요하다.
◈JH안소니백세건강노트 :: 9.NO불소 매스틱함유 매스티키스 치약24K↓
9.NO불소 매스틱함유 매스티키스 치약24K
●NO불소 매스틱함유 매스티키스 치약24K 불소는 송과체 석회화를 촉진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뇌 중심에 있는 솔방울 모양의 조직 송과체 석회화는 뇌 노화를 촉진하고 뇌졸
trak22.tistory.com

반응형
'뇌기능강화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뇌기능개선물질 콜린 (0) | 2024.10.28 |
---|---|
18.송과체 석회화 (0) | 2024.10.28 |
17.치매유발 아밀로이드 베타 (0) | 2024.10.26 |
16.건강한 뇌를 위한 요소 (0) | 2024.10.26 |
15.치매를 예방하는 비타민E 델타토코트리에놀 (0)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