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8. 23:18 세계사속으로1
11.이집트 고왕국 피라미드로 멸망
반응형
●이집트 고왕국 피라미드로 멸망
현재 이집트에는 약 80여개의 피라미드가 남아 있다.이 숫자는 고대 이집트 왕국 3천 년 역사속에서 피라미드가 한창 만들어진 고왕국 500년 기간에 만들어진 것이다.세계에서 가장 큰 피라미드를 만든 쿠푸왕이 죽고 나서 부터 왕들은 피라미드 건설을 단념하고 옛날의 모습인 사각형 돌로 만든 무덤에 만족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였다.이집트 왕들은 왜 피라미드 건설을 단념했을까? 바로 문지기.세탁하는 사람.빵 만드는 직인.과자 만드는 직인.심부름 꾼 등 시민들이 혁명을 일으킨 것이다.혁명의 중심지는 멤피스였으며 혁명위원회가 조직되었다.원인은 첫 번째로 고관대작과 주지사의 권력이 너무 강력해졌기 때문이다.피라미드는 왕의 조직적인 통제력으로 만들어졌다.이러한 왕의 조직을 움직이고 있던 고관대작들이나 주지사는 그 지위를 후손에게 물려주고 대대로 소유 토지도 늘어남에 따라 그들이 민중을 지배하게 되었다.고관대작들과 주지사는 자신들의 토지를 운영하기 위하여 경작농민 외에도목동.어부.목수.정원사.가구공.염직공.금은 세공인.도공.석공 등 일반 시민들도 부리게 되었다.두 번째는 왕이 즉위할 때마다 피라미드를 건설하기 때문에 나라의 부가 탕진되어 버렸다.세 번째는 세금의 수입이 줄어들게 되었다.따라서 피라미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농민과 경지를 지정하여 거기서 나오는 수입으로 대체하게 되었다.따라서 지정받은 농민과 경지는 세금을 면제하였다.피라미드의 수가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왕국의 재정은 감소하였다.네 번째는 대외무역의 적자이다.구리가 묻혀있는 시나이반도로 가는 길은 사막에 사는 유목민들이 위협하여 구리의 유입도 원할하지 못했다.역대로 건설한 피라미드의 함정에 빠져버린 것이다.사회는 혼란에 빠지고 고관대작의 독재정치가 펼쳐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이에 반발한 세력들이 왕을 축출하고 피라미드에 숨겨진 재산을 파헤치고 이집트의 평화를 지키는 욍의 권위를 거역하였다.도시는 순식간에 쓸모없는 산으로 변해 버렸다.혼란속에 서 귀족들은 단결하였다.그들은 누비아 용병을 이용해 혁명위원회를 전복시켰다.이후 국왕이 다시 귀족에게 대항하여 민중의 지지를 받고 왕국을 다시 바로 잡았다.그러나 왕의 권위는 이전의 신이라기 보다는 인간임이 강조되었다.이러한 고왕국 말기부터는 급격하게 왕권이 쇠퇴하면서 피라미드의 건설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사라지기 시작했다.고왕국은 기원전 2200년 경에서 2100년 경까지 극심한 혼란기를 틈타 군웅할거시대를 맞이하여 서서히 몰락하면서 기원전 2100년 경 이집트 중왕국 시대로 넘어가게 된다.
반응형
'세계사속으로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고대이집트 중왕국 시대 (0) | 2025.02.09 |
---|---|
10.이집트 신화 "오시리스" (0) | 2025.02.08 |
9.나일강의 선물 (0) | 2025.02.08 |
8.나일강이집트 문명의 태동 (0) | 2025.02.02 |
7.바빌로니아 함무라비대왕과 최초의 성문법전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