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백세건강노트 :: 18.시신경 손상과 녹내장
반응형

 

 

 

 

 

●시신경 손상과 녹내장

 

 

 

 

 

 

 

 

 

나이가 들어가면 어느 날 갑자기 노안이 찾아온다.흔히 찾아오는 것이 백내장이다.백내장은 수술과 돋보기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그러나 녹내장이 찾아오면 참으로 암담한 일이 된다.녹내장은 시신경이 손상되는 병이기 때문이다.완치라는 개념이 통하지 않고 한 번 손상된 시신경은 회복되지 않아 실명으로 이어질수 있다.녹내장은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눈주변 시야가 좁아지는 특징을 보인다.마치 터널 안에서 밖을 내다 보는 것과 같다.시야가 매우 좁아지게 되면 주변 사물과 돌발 상황에 대처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2016년에는 약 80만 명이 발생하고 2022년 한 해에만 약 112만 명이 발생했다.2025년이면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게 된다.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녹내장 환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안구에는 둥그런 눈의 형태를 유지하고 눈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안구액이 있다.이를 방수라고 한다.방수는 매일 분비돠고 배출되면서 안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그런데 방수가 배출되지 않으면  안압이 높아져 시신경을 손상하는 녹내장이 발생한다.방수가 배출되지 않는 이유는 배수로 즉.섬유주가 막혔기 때문이다.이를 폐쇄각 녹내장이라고 한다.폐쇄각 녹내장이 발생하면 안압이 급격하게 높아져서 머리가 깨질듯이 아프고 구토를 하면서 시력 손실이 빠르게 진행된다.응급치료가 필요하고 병원에서는 주사제.점안액 등을 사용하여 안압을 떨어뜨리고 레이저 절개술로 방수 배출로를 만든다.반대로 개방각 녹내장은 섬유주가 수개월 또는 수년간에 걸쳐서 서서히 막히면서 방수 배출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정상 안압 녹내장은 안압이 천천히 높아지거나 아예 안압은 정상인데도 시신경이 손상될 정도로 약해지는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다.우 리나라의 경우 정상 안압 녹내장이 80%를 차지한다.이점이 더 치명적이다.안압이 정상이다 보니 자각할 틈도 없이 시신경이 많이 손상된 후에 발견하는 경우가 흔하다.

 

 

 

 

 

 

 

 

지금으로서는 조기 발견 방법이 없기 때문에 1년에 한 차례 안과를 찾아 눈 검사를 하는 것만이 정상 안압 녹내장을 조기에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이다.녹내장은 치료를 받아도 시신경이 회복되지는 않는다.따라서 녹내장 치료의 목적은 시력을 더 잃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있다.방수가 적절히 분비되고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주요 치료법이다.녹내장의 구체적인 치료법은 약물.레이저.수술 방법이 있다.약물치료는 안약을 평생 사용하면서 안압을 조절한다.안압이 조절되면 눈 속의 혈액순환이 좋아져 시신경을 보호할 수 있다.안압이 너무 높거나 이미 시신경이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에는 레이저시술이나 수술치료를 하여 방수를 배출하는 통로를 만든다.이렇게 만든 배출로가 달라붙어 막히면 인공적인 배출관을 심는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한다.녹내장은 한 번의 수술로 해결된다기 보다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실제로 녹내장을 조기에 발견하면  실명하거나 생활에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의지를 가지고 관리하면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현재 녹내장을 예방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다만 일상생활에서 안압을 높하는 행동을 삼가하는 것이 필요하다.예를 들어 물구나무서기를 자주한다거나 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스마트폰 보기.물을 한 번에 마시는 일은 안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40대 이상의 나이라면 1년에 한 번 안과검사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특히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혈압을 유지해야 한다.고혈압이 있는 사람은 녹내장 고위험군이다.근시가 있거나 각막이 얇은 사람도 고위험군이다.라식수실을 받는 경우에도 각막이 얇아지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6개월 이상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거나 당뇨.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좀더 주의깊게 정기 검진을 받을 팔요가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至山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JH안소니至山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목록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