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백세건강노트 :: 17.면역체계 필수영양소 체크포인트
반응형

 

 

 

 

●면역체계 필수영양소 체크포인트

 

 

 

 

 

 

 

 

우리의 몸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매일 수많은 영양소가 필요하고 그중에는 몸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거나 합성되지 못해 외부에서 음식 등으로 보충을 해주어야 하는 영양소도 존재하게 된다. 우리 몸의 필수 5대 영양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미네랄이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은 정상적인 건강한 식생활을 하게 된다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게 영양제를 챙겨 먹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중요한 것은 결국 우리 몸에서 스스로 만들어내지 못하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중요한 것인데 그 종류도 많아 그 어떤 것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섭취해야 되는지가 우리들의 고민이 될 수 있다. 영양제는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간편하게 먹을 수 있게 만든 제품이다. 평소에 고른 식단과 풍부한 야채 등을 충분하게 섭취하면 영양제는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은 얼핏 들으면 합리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물론 건강한 식단을 통해 쉽게  얻어지는 영양소도 충분하게 존재한다.칼슘.인.칼륨.철.비타민A.구리등이 대표적이다.그러나 그 이외의 영양소도 풍부한 야채와 과일 및 곡물 등을 통해 매일 필요한 양만큼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우리가 신선하다고 생각하는 야채와 과일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부족한 경우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생산량과 상품의 외관을 더 좋게 하기 위하여 화학비료와 살충제를 쓸 수밖에 없는 현실과 그로 인하여 토양의 비옥함이 옛날에 비하여 엄청나게 달라졌기 때문이다. 또한 신선도 유지를 위한 보관방법과 조리과정에서도 영양소는 무수히 파괴되기 때문이다. 바쁜 현대인은 사정상 패스트푸드와 배달음식을 통하여 트랜스지방과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많이 섭취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들은 특별한 맛을 내기 위하여 감미료를 첨가하기 때문에 비타민과 미네랄을 고갈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음식만으로는 충분하게 비타민과 미네랄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분 영영소는  영양제를 통하여 공급해 주는 것이 오늘날 예방의약으로 학계에서도 널리 인정되고 기능의학으로도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이다.이렇게 비타민이나 미네랄 영양제가 필요하다는 기능의학중심 의사들의 의견이 있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다른 치료전문 의사들은 영양제가 효과가 없다고 주장한다.즉.일상생활의 건강한 식사에서 충분하게 충족되고 있다는 것이다.그 어떤 주장을 따라도 그것은 개인의 결정에 달렸다.여기서 중요한 답이 하나 있다고 보겠다.건강한 식단을 통해서든지 아니면 영양제의 도움을 받았던지 우리 몸안에 필요한 비타민이나 미네랄은 혈중에서 필요한 수치가 있다.우리 몸안에서 에너지를 만들고 면역을 체계화하고 세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혈중농도의 정상치는 만족시켜야 할 것이다.그 방법이 영양제를 섭취하지 않아도 충분하게 이루어진다면 영양제는 더 이상 쓸모가 없을 것이다.또한 영양제를 선택하더라도 현대인의 생활에서 정보가 홍수처럼 넘쳐나기 때문에 개인들은 풍요 속의 빈곤을 느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과연 어떠한 영양제를 선택해야 될지가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사람마다 생활습관. 식습관. 건강상태의 차이가 다르고 부족한 영양소도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수준에 맞추어 선택해야 돨 문제이지만 영양제를 선택할 때 공통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있다. 첫 번째는 모두 영양소는 몸속에 들어가서 활성화가 되어야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흡수율이 좋은 원료와 방법을 사용하여 만든 제품이어야 한다. 제품의 브랜드보다는 좋은 원료를 사용했는지. 흡수율을 높이는 기술을 사용했는지가 중요하다. 아무리 가성비가 좋고 성분함량을 높게 표시하더라도 흡수율이 낮다면 선택에서 배제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두 번째는 유해물질 첨가제 표시를 철저하게 검증하여야 한다. 일부 업체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첨가제와 관련한 유해과대광고마케팅으로 자연유래첨가제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면서 비싸게 팔고 있기도 한다. 식품의약안전처에서는 첨가제와 관련하여 인체에 무해한 첨가제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식약처 홈페이지에 들어가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제품이 식품의약안전처의 인증을 받았는지. 제품이 관련기관 검사의 안전성 및 효능 검사에서 인증을 받았는지. 제조일자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간에 있는 제품인지 등을 꼼꼼하게 살피고 고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겠다. 

 

 

 

 

 

 

 

다음은 영양소 중에서 어떠한 영양소가 우리몸에 필수적으로 필요한지 살펴보기로 하자

 

 

 

 

 

 

 

◈면역체계을 위한 영양소

 

 

 

1.비타민B군

 

 

 

비타민 B군은 주로 체내 에너지 생성.면역체계 강화.신경기능 강화.세포의 성장 등에 관여한다.구체적으로는 췌장암의 발병률을 감소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 시키며 피부색과 근육 건강을 유지시킨다. 비타민B 복합체 vitamin B complex 또는 비타민 B군 복합체는 수용성 비타민들이다. 비타민B는 한때 단일한 비타민으로 알려졌다. 이후의 연구에서 비타민 B군은 같은 음식에서 종종 공존하지만 화학적으로 구별되는 비타민들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비타민 B 복합체는 vitamin B complex라고 불리고 8개 비타민 모두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개별적인 비타민 B 보충제는 각 비타민의 구체적인 이름으로 불린다.예를 들면 B1, B2, B3 ......등이다. 한편 비타민 B군들은 수용성이므로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배출되므로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섭취가 요구된다.특히 비타민B12 결핍은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환자에게 흔히 나타난다.비타민B12 수치는 자가면역 질환 환자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nti-TPO 수치와 역의 상관관계가 있다. 많은 연구들에서 자가면역 질환 환자들은 비타민B12 결핍 유병율이 높은 반면에 자가항체 역가는 비타민B12와 부정적으로 연관돼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비타민B군은 에너지 대사.특히 자연살해 T세포 및 CD8+T세포와 관련된 필수 보조 인자를 활성화하여 면역 세포 기능을 조절한다. 또한 자가면역 갑상선질환의 주요 병태생리학적 기전 중 하나의 생산물인 라디칼 산소(ROS)를 제거하는 항산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비타민B군은 전체가 수용성이지만 비타민 치료 전문병원에서 자신의 혈중논도를 체크해 볼 필요도  있다.

 

 

 

 

 

 

 

 

2.비타민D3

 

 

 

낮은 비타민D3 상태는 자가면역 질환 환자에서 관찰되며 anti-TPO(TPOAB) 및 anti-Tg 항체(TGAB)와 혈청 비타민D3의 역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 비타민D3는 T세포 활성화의 조절자로서 적응성 면역 반응을 형성한다. 이는 염증성 Th17 표현형에서 벗어나 T 세포 성숙에 영향을 미친다. 비타민 D3는 T 조절 세포(Tregs)의 유도를 촉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IL-17, IL-21)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종양 괴사 인자 알파(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단핵구 생성을 억제하고 수지상 세포의 성숙을 차단한다. 비타민 D3 혈중농도는 일반병원에서도 면역검사로서 시행하고 있다.정상수치는 30mg/dL에서100mg/dL이다.0에서20mg/dL은 부족상태로 구루병.골연화증이 발생하기 쉽다.30mg/dL에서 50mg/dL은 평균상태로 골다공증예방에 큰도움이 된다.50mg/dL에서 70mg/dL은 대장암.당뇨.고혈압.심혈관질환.유방암.다발성경화증을 예방한다.70mg/dL에서 100mg/dL은 항암치료에서 이용돤다.

 

 

 

 

 

 

 

 

3.비타민A

 

 

 

비타민A는 시력의 유지와 다양한 대사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미량 영양소다.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고 식사를 통해 섭취되며 동물성 식품에서 발견된다. 간세포에서 생성되는 혈장 retinol-binding protein 4(RBP4)에 의해 분화되는 과정을 통해 혈장으로 운반된다. RBP4는 티록신의 수송도 하는 운반 단백질 트랜스티레틴(TTR)과 가역적 복합체를 형성한다.비타민A와 RBP4는 포도당신생 효소인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PEPCK)의 발현을 조절한다.비타민 A(레티놀산)는 티오레독신 상호작용 단백질을 억제하고 산화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켜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 HSC; 간섬유화의 중추역할을 하는 세포)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비타민A는 영양제보다는 일반적인 건강한 식사를 통하여 섭취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고 녹황색채소나 과일. 곡물은 통해서 충분하게 섭취될 수 있다.그리하여도 비타민 검사을 통한 혈중농도가 낮게 나오는 경우 영양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보겠다.

 

 

 

 

 

 

4.비타민C

 

 

비타민C 혈중농도 검사는 SVCT2검사를 통해 내 몸 속 수송체 단백질의 결핍 여부를 확인하고 결핍과 비결핍에 따라 목표로 하는 혈중농도가 달라지며 개인의 몸 상태와 대사 정도에 따라 비타민C 투여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하는 검사이다. 납은 생물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중금속이다. 납은 신경독성.발암성.신장질환.심혈관계.호흡계.조혈계.근골격계. 소화기계.생식계.면역계.내분비계에 광범위한 유해작용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1일 비타민 C 섭취량 혈중농도가 높은 경우에 비타민 C 경구 섭취가 납의 독성영향을 줄이고 혈중 납 수치를 감소시킬 가능성은 크다고 보고 있다.비타민C 혈중 농도는 통상적으로 최소 200mg/dL이상이어야 하고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400mg/daL이상이어야 한다.그러나 혈액검사를 통하여 개인에 맞는 용량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보겠다.물론 모든 병원이 하는 것이 아니고 전국에서 약 300개 비타민 치료 전문병원에서 가능하다.

 

 

 

 

 

 

4.미네랄

 

 

 

다음은 우리 몸에 필요한 미네랄 중 반드시 우리가 보충제로 섭취하여야 할 미네랄 영양제를 모아 놓은 미네랄 컴플렉스이다.미네랄은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게되면 충분하게 생성되는 것도 있고 충분하게 생성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보충제를 통하여 섭취해야 되는 것도 있다.우리가 보충제를 통하여 섭취할 미네랄은 마그네슘.아연.셀레늄.크롬 정도이다.불소같은 미네랄은 영양소에 포함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고 있다.이외의 미네랄은 우리가 정상적인 식사를 통해 충분하게 공급될 수 있고 결핍되는 경우가 그리 흔하지 않다는 것이다.특히 칼슘.철.칼륨.인 등은 아무나 함부로 섭취해서는 안되는 미네랄이다.이러한 미네랄은 일정한 검사를 통하여 혈중농도수치를 측정하여 의사의 처방에 의하여 섭취해야되는 영양소이다. 참고적으로 미네랄의 혈중농도의 정상수치는 다음과 같다.칼슘은 8.1mg/dL에서 10.4mg/dL이다.마그네숨은1.7mg/dL에서 2.2mg/dL이다.인은 2.6mg/dL에서 4.5mg/dL이다.칼륨 3.5mmol/L에서 5.1mmol. 나트륨 136mmol/L에서 140mmol/L. 염소98mmol/L에서 107mmol/L이다.이외에도 철분.아연.크롬.셀레늄.구리 등 미네랄 등도 일반병원에서도 미네랄 검사를 통하여 혈중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이 어느 미네랄이 부족한지를 체크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겠다.물론 젊고 건강할 때는 이러한 영양소가 부족하지 않을 수 있다.그러나 나이가 들면서는 귀찮더러라도 꾸 준하게 관리해 나가는 것이 더 큰 질환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예방이 될 것으로 보겠다.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tistory.com)↓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trak22.tistory.com

 

 

 

 

 

 

 

 

 

 

◈JH안소니 TV 바로가기↓

 

 

JH안소니TV 투자와 건강노트

건강에 대한 일상과 투자여행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 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 한 번 방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至山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JH안소니至山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목록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