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9. 11. 16:50 심혈관강화1
9.당뇨.치매와 글루텐 위험성
반응형
●당뇨.치매예방 글루텐의 위험성
갑상선을 공격하고 혈당을 아주 빠르게 올려주는 음식의 재료는 밀가루이다.밀가루는 92%가 탄수화물이고 8%가 단백질이다.밀가루에 있는 단백질은 글루텐이다.글루텐은 보리.호밀.밀 등의 곡물에 존재하는 불용성 단백질의 혼합물이다. 따로 추출한 글루텐은 회갈색을 띤다. 몇가지 단백질이 혼합되어 존재하며 약간의 당과 지질도 함유되어 있다.흔히 빵 이나 국수를 제조할 때 반죽이 끈끈하게 되는 것이 이 물질 때문인데 이 끈기를 이용해 효모가 만든 탄산가스를 두어 빵을 부풀리거나 국수의 길이를 늘린다. 글루텐을 반죽해서 밀고기라는 인조육을 만들기도 하고 마찬가지 콩 을 주재료로 하는 인조육인 콩고기의 경우에도 점성을 더하기 위해 이 글루텐을 첨가한다.요리재료 전문점에 가면 밀에서 추출한 글루텐 가루를 따로 팔기도 하는데 찰기가 부족해 반죽이 잘되지 않는 쌀가루 콩가루 등 곡식가루에 혼합해 전을 부친다든가 국수로 뽑는다든가 밀가루를 더 쫀득하게 한다든가 할 때 쓰인다. 흔히 그런 용도로는 국수반죽에는 명반이 쓰이는데 글루텐 가루도 빵 반죽을 쉽게 한다.글루텐이 없으면 빵을 만들 때 빵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된다.글루텐을 함유한 음식은 밀.보리.호밀.귀리.맥아 등이다.글루텐에 예민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그러나 일반적으로 글루텐은 몸 안에서 이상 반응이 일어나지만 몸 밖의 증상은 바로 나타나는 경우가 매우 드믈다.글루텐을 먹고 증상이 바로 나타나면 스스로 글루텐 음식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긍정적인 점이 있다.그러나 심각한 문제가 되는 것은 글루텐을 먹어도 증상이 없는 사람들이다.글루텐의 구조는 갑상선 세포와 아주 유사하다.우리 몸안의 항체는 분자 구조가 비슷하면 정밀하게 구별할 수 없게 된다.항체는 글루텐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 갑상선도 동시에 공격할 수 있게 된다.때문에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있거나 갑상선 조직에 대한 자가항체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글루텐을 함유한 음식을 멀리해야 한다.항체 양성인 갑상선기능저하증 하시모토병 환자가 글루텐 음식을 배제한 저탄수화물식이등을 시행한 경우에 갑상선을 공격하는 자가항체의 수치를 44%나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
▶갑상선기능저하증.당뇨.치매가 있는 사람은 가장 먼저 글루텐을 함유한 음식을 멀리해야 한다.
⊙당지수 비교
종류 | 당지수 |
설탕 | 63 |
밀가루 | 71 |
식빵 | 91 |
바게뜨빵 | 93 |
라면 | 73 |
대부분의 사람들은 밀가루가 설탕보다 당지수가 작다고 생각하기가 쉽다.당지수가 70이상이 되면 혈당을 매우 빠르게 올릴 수 있다.그런데 밀가루로 가공한 음식들은 밀가루보다 당지수가 훨씬 더 높다.밀가루가 이렇게 혈당을 아주 빠르게 올리는 것은 완전히 갈아서 가루 형태로 만들었기 때문에 흡수가 잘 되기 때문이다.달달한 과일을 깍아 먹는 것 보다 믹셔에 갈아 쥬스로 마시면 혈당은 엄청나게 빨리 올라가는 이치와 같다.액체 당분은 이런 방법으로 혈당을 빠르게 올려준다.만약에 저혈당에 빠진 응급환자의 조치로 빠르게 혈당을 올리게 하는 방법은 액체 설탕물.콜라 같은 것을 사용하는 방법이다.이 처럼 액체 당분을 많이 먹게되면 혈당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올라가게 된다.밥 한 공기에는 각설탕으로 환산하면 약 16에서 20개 정도가 되고 통밀 식빵 2조각은 약 16에서 17개 정도가 된다고 한다.결코 가볍게 넘어갈 문제는 아니다.탄수화물을 줄이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보겠다.밀가루 음식에 포함된 글루텐은 장과 장세포를 연결하는 단단한 고리를 이완시키거나 파괴시켜버린다.원래의 장세포들은 단단한 이음새로 촘촘하게 붙어서 외부의 이물질들이 우리 혈액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아주게 된다.글루텐을 먹게되면 장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새가 파괴되어 장세포 사이로 소화가 안된 음식이나 이물질.세균 등이 혈액으로 바로 침투할 수 있다.이 상태를 "장 누수 증후군" 새는 장 증후군"이라고 한다.즉 , 장이 샌다는 것이다.이렇게 되면 들어와서는 안되는 물질들이 들어오게되어 각종 면역 반응을 일으키며 염증 상태에 빠지게 된다.만약에 점심에 샌드위치를 먹게되면 장세포의 연결에 약간 파괴된다.그러나 이 정도는 장세포가 빠르게 회복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저녁에 바로 다시 피자나 파스타를 먹게되면 장세포가 완전하게 회복되기도 전에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이렇게 조금씩 서서히 누적되는 손상은 아주 위험한 상태로 갈 수 있다.우리들의 뇌에도 장세포와 비슷한 보호막이 있다.이를 뇌 혈관장벽이라고 한다.뇌는 두부처럼 아주 약한 조직이라서 아주 약한 독소에도 큰 손상을 입을 수 있다.그래서 뇌를 촘촘하게 막아주고 있는 것이 뇌 혈관장벽이다.아주 필수적인 물질만 통과가 가능하게 되어있다.그런데 글루텐은 이렇게 촘촘한 뇌 혈관장벽마저 쉽게 손상시켜버린다.뇌에 각종 이물질들이나 독소가 들어오게 되면 속수무책이 된다.뇌 세포가 손상되면 기억력저하.집중력저하.치매.파킨슨 병 등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최근의 많은 실험에서 글루텐에 의해 뇌 혈관장벽의 손상이 증명되고 있다.그에따라 많은 정신잘환들이 발병하고 있는 실정이다.실제로 정신질환 환자들에게 밀가루 음식을 금지시키고 증세가 호전되었다는 사례들이 많이 보고되고있다. 빵.면 .과자.라면.튀김.피자.파스타.와플.스파케티.팬케이크 등 달달하고. 쫀득쫀득하고. 맛이 끝내주는 이러한 음식에는 글루텐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할 필요가 있다."밀가루 똥배". "밀가루 만 끊어도 100가지 병을 막을 수 있다" . "그레인 브레인" 등 책에서는 글루텐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밀가루 음식을 전혀 먹지 않고 살 수는 없다.현명한 방법은 식생활패턴에서 밀가루 음식을 늘 달고다니면 위험해진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무심코 샌드위치. 빵. 라면. 국수. 파스타. 피자 등을 즐겨하는 식습관을 반드시 개선시켜야할 것으로 보겠다.
반응형
'심혈관강화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독일 KD Phama사 원료 초임계 rTG 오메가3 (0) | 2024.10.05 |
---|---|
10.오메가3 지방산이 중요하다 (0) | 2024.10.05 |
8.고혈압예방과 코엔자임Q10 (0) | 2024.09.11 |
7.고혈압의 기준수치 (0) | 2024.09.11 |
6.가정혈압 측정방법 (0) | 2024.09.09 |